카테고리 없음

취업 당황하지 않고 준비하는 방법

journal3294 2025. 7. 11. 01:04

취업 당황하지 않고 준비하는 방법

 

 

대학 졸업을 앞둔 한 친구가 있다. 그는 취업이라는 단어만 들어도 한숨을 쉰다. 그렇다면 취업을 준비하는 입문자도 이 과정을 즐길 수 있을까? 직장 생활 7년 차인 내가 친구들을 위해 만든 '취업 체크리스트'를 공유하고자 한다. 나의 첫 직장 준비 당시, 이 체크리스트가 있었다면 분명 좀 더 수월했을 것이다.

 

1. 스스로 되돌아보는 시간

자신의 강점과 약점은 무엇일까? 이런 질문은 중요하다. 나도 취업 준비 초기에 이 작업을 거쳤다. 세 분의 선배에게 조언을 듣고, 많은 자기 계발 책을 읽었다. 강점과 약점을 알지 못하면 어떤 직업이 내게 맞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친구들 사이에서 내가 코딩에 강하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IT 분야로 방향을 잡았다. 그래서 나만의 명확한 목표를 설정했다.

 

2. 원하는 직무와 산업군 분석

우선 원하는 직무와 산업군을 정리해야 한다. IT 기업에 관심이 있었던 나는 여러 회사의 웹사이트와 나무위키, 잡플래닛 등을 통해 정보를 얻었다. 산업군의 최신 트렌드를 알고 싶다면 '산업 보고서' 같은 자료를 읽어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나의 경우, AI와 빅데이터 쪽이 무척 흥미롭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그에 맞는 포지션에 집중했다.

 

3.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준비

많은 이들이 취업의 시작을 여기서 막히곤 한다. 나도 초기에는 이력서를 쓸 때마다 막막했다. 하지만 여러 번 수정하고, 친구들과 자주 공유하면서 점점 나아졌다. 중요한 것은, 지원하는 회사에 맞춤형으로 작성하는 것이다. 한 IT 회사에 지원할 때는 작은 프로젝트 경험까지도 꼼꼼히 적어 좋은 결과를 얻었다.

 

4. 인맥 활용하기

가끔은 인맥도 기회를 만들어 준다. 한때 나는 평균적인 네트워커에 불과했다. 하지만 커피 약속을 통해 업계 사람들과 교류를 시작했다. 그 결과, 한 회사의 인사팀에서 자연스럽게 연락이 오게 되었다. 요즘은 SNS로도 많은 기회를 찾을 수 있다. 실제로 LinkedIn에서의 네트워크가 취업으로 이어진 사례도 많다.

 

5. 시뮬레이션 면접 연습

면접은 누구나 두려워하지만 필수적인 단계다. 나는 거울 앞에서 스스로 면접 연습을 하기도 하고, 친구들과 모의 면접 세션을 자주 가졌다. 덕분에 실제 면접장에서는 긴장감을 많이 줄일 수 있었다. 또한 면접 중에는 헛점을 보완하고, 내가 얼마나 준비되었는지를 보여줄 좋은 기회로 삼았다.

 

6. 지속적인 공부와 자기 계발

우리는 언제나 부족한 점이 있다. 그것을 채우기 위해 지속적인 공부가 필요하다. 나의 경우, 코딩 스킬이나 신기술에 대해 항상 배우고 실습했다. 또한 수많은 온라인 과정과 대학교 추가 강의를 통해 끊임없이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7. 지원 후 결과에 대한 관리

취업 준비는 오래 걸릴 수 있고, 가끔은 기운이 빠진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매번 실패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나의 초기 지원에서 얻은 여러 번째 거절 메일은 기운을 빠지게 했지만, 그것을 교훈으로 삼고 다시 도전할 수 있었다. 지속적인 피드백 수집과 그에 따른 개선이 성공적인 취업으로 이어졌다.

 

 

언제나 완벽한 준비는 어려울 수 있지만, 이 체크리스트를 따른다면 최소한의 방향성은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친구를 찾아가 내가 만든 이 체크리스트를 보여줄 생각에 기분이 좋다. 그 친구도 신입사원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기를 바란다.